항상 좋아요. 2009. 2. 14. 19:54



 

 

독기맥(督氣脈) 수배부정중(正中)으로 B1 장미(長尾)에서 상행(上行)하여 B27 후정에 이른다.

 

B1: 인사불성. 팔다리 경련을 일의키는 것. 요척통. 고질적인요통. 두통. 치질.

B1은 항문에 해당한다, 특히 치질의 경우 B1만 자극해도 좋다,

원기의 기본이 바로 항문이라고도 한다(B1번에 서암봉을 항시 붙히면 좋다)

그래서 변이 부드럽고 시원하게 나오는 것이 건강하다는 증거도 된다

그리고 항문근육과 생식기의 근육이 하나로 되어 있어서 치질이나

혹은 정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이 괄약근을 강화시켜 주어야 하는데

B1과 A1을 동시에 자극한다, B1번은 항문 소양증에도 좋고 실변금에도 좋다

 

B2:치질. 요통. 척추통. 자궁병. 중풍.

B5:대장질환. 요통.

 

B7:신장질환. 원기부족. 정력감퇴. 요척통. 배꼽아플때등에 유효.

B7번은 배꼽 반대편으로 명문혈(생명의 문) 이다, 배꼽은 바로 몸 중심이며

배꼽이 풍선이라면 바람을 집어넣는 주둥이 역활을 하는것이 바로 등의 명문혈(B7) 이다

이 명문혈을 기준으로 위쪽은 등 이며 아래 쪽은 허리이다

 

허리병은 수지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그 상응부위는 B1~7번이다

B7번  5mm 옆 i19번에서 i24번 까지에서 허리요통 상응점을 찿아 다침한다

허리뼈의 모양은 개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수 있다, 허리병은 4, 5요추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허리를 굽힐 때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상이 올 가능성이 많다

요통을 치료할때는 인중혈에 해당하는 A27번과 대추혈인 B19번 후계혈에 해당하는 H2, B27을

하병 상치의 원리에 따라 추가해주면 좋다

 

B14:심장. 휭경막질환. 척추. 폐질환. 출혈성질환.

B14는 지양혈에 해당한다  인체에서 견갑골 양쪽 끝을 잇는 선과 척추가 만나는 지점이다

지양(至陽)은 양에 도달한다는 의미로써

이 점을 기준으로 윗쪽은 양(陽) 아래는 음(陰)으로 나뉜다

지양혈은 만성 위장병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등이

굽은 아이가 위장이 나쁜 경우도 이 때문이다, 위가 나쁘거나 급체시 지양혈이 아프다

 

B19:인체의 모든질병. 수족경련. 얼굴. 심장. 열. 소화기. 호홉기. 척추. 코. 항강등.

B19는 대추혈이다 大는 크다는 의미보다 척추의 기능에서 대단히 중요하다는 의미로 본다

뒷목 아래에 불록 튀어나온 뼈 부분이다, 어깨, 손 저림에 활용하면 좋다

인체의 후면병이나   후두통에는 기본적으로 다침을 해주면 좋다

 

B24:척추병. 정신병. 모든중풍. 후두통. 류머티즘. 견갑통. 안면재질환. 수족마비. 언어장애. 심장병.

B24에는 언어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발음 장애 혹은 혀놀림이 부자유스럽거나

어눌하다고 할 때 여기를 자극한다, 교통사고, 뇌졸증 등에 의한 언어 장애에도 B24를 자극한다

 

B27:후두통. 인사불성. 반신불수. 뇌통.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독기맥B기맥은 손등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손은 인체와 밀접한 간계가 있으므로

당연히 우리 몸의 등뒤를 위치한 기맥이겠지요?

 

독기맥은 B1부터 B27번까지 존재하는데 시작은 아래서부터 B1입니다. 잡는 방법은

손을 그림과 같이 자연스럽게 편 상태에서 B1지점을 눌러보시면

손등뼈와 손목 뼈 사이에 움푹 들어가는 곳이 있습니다.

 

뼈가 없는 듯 해서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새끼손가락 굵이정도인데 이지점이 보통 B1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중지 가 시작되는 부근으 굵은 손가락 뼈가 튀어나오는 부근 ,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주먹을 쥐면 튀어 나오는 뼈중앙이 B14번인데

B14번과 B1 의 중간에는 B7번이 들어가겠지요?

그리고 B1 B7번 사이에는 5개의 혈자리가 들어가는데

이는 임기맥에서 하는 것과 같이 등분을 잘 나누시면 되겠습니다.

 

뭐하시면 자를 대구 하셔두 되져~

한번만 해보시면 다음부터는 눈짐작으로 나눌 수 있을테니...

그리고 B7번과 B14번 사이에는 6개의 혈자리가 존재하구요.

 

이렇게 B2~B6, B8~B13번을 잡을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잡는데

혹 이게 틀렸다고 알고 계시는 고수분들 주저없이 지적 바랍니다. 그럼 계속 ...

 

B14번까지 잡았으니 이제 손가락에 있는 혈자리를 잡아보져..

첫 번째 마디에 주름이 잡히는 곳이 있습니다. 주름이 잡히는곳이 다 되는 것이 아니라

주의 할 것은 손 바닥과는 달리 주름이 있는곳 중 가운데가 혈자리가 되겠습니다.

그림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주름가운데가 B19번이 되는데 B19번과 B14번 사이에는 4개의 혈자리가 존제합니다.

각 각 B15~B18 인데 간격을 잘 맞춰서 혈자리를 잡아주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B24번은 손가락등에 위치한 두 번째 마디에 해당하는 주름가운데에위치하고

동일하게 나머지 혈자리를 잡아 주시면 B19에서 B24번가지 완성이 됩니다.

매번 말하지만 간격을 잘 마춰주셔야 되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B27번은 손톱이 시작되는 부분,

즉 남의 살이라구 해서 손톱 소지 하실 때 띠어내는 살 있잖아요..

그 부분은 띠어두 아푸지 않은 그 부분에서 2mm정도 아래로 띄워 위치한 지점이 B27번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B24번과의 사이에 B25, B26번의 혈자리가 존제하구요...

이렇게 B기맥(독기맥)의 위치를 잡아봤습니다. 한번 잡아보시면

다음엔 점을 따로 찍지 않아도 눈으로 대충 짐작 할 수가 있으실겁니다.

 

앞에서 한 임기맥과 함께 독기맥은 우리몸의 줌심을 타고 흐르는 혈자리이므로

치료할 때 자주 쓰이는 혈자리 이며

또한 중요한 장기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확실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