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방/漢字

<두 가지 음으로 읽는 한자>

항상 좋아요. 2010. 2. 3. 06:01

<두 가지 음으로 읽는 한자>

한자 중에는 車자처럼 두 가지 발음을 갖고 있는 글자가 많이 있다.

그 대표적인 한자들을 뽑아 어떤 경우에 어떻게 읽는 지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자.

내릴 강 降雨量(강우량) 일정 기간에 일정한 곳에 내린 비의 분량
항복할 항 降伏(항복) 전쟁, 싸움 등에서 힘에 눌려서 적에게 굴복함

다시 갱 更生(갱생) 죄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
고칠 경 更新(경신) 옛 것을 고쳐 새롭게 함

볼 견 見學(견학) 실지로 보고 학식을 넓힘
드러날 현 謁見(알현) 지체 높은 사람을 찾아 뵙는 일

차 다 茶道(다도) 차에 관한 예의
차 차 綠茶(녹차) 푸른빛이 그대로 나도록 말린 부드러운 찻잎

법도 도 制度(제도) 제정된 법규
헤아릴 탁 度地(탁지) 토지의 면적을 헤아림

읽을 독 讀書(독서) 책을 그 내용과 뜻을 이해하면서 읽는 일
구절 두 句讀點(구두점) 글을 읽기 좋게 낱말이나 마디에 찍는 부호

마을 동 洞長(동장) 한 동네의 우두머리
통할 통 洞察(통찰) 환히 내다봄. 꿰뚫어 봄

비율 율 能率(능률) 일정한 동안에 할 수 있는 일의 비율
거느릴 솔 統率(통솔) 온통 몰아서 거느림

회복할 복 光復(광복) 잃었던 나라를 되찾음
다시 부 復活(부활) 죽었다가 되살아남

북녘 북 北上(북상) 북쪽으로 올라감
달아날 배 敗北(패배) 싸움에 져서 도망함

죽일 살 殺人(살인) 사람을 죽임
심할 쇄 惱殺(뇌쇄) 몹시 괴롭힘

형상 상 狀態(상태) 사물이나 현상이 현재 처해 있는 형편이나 모양
문서 장 賞狀(상장) 품행, 성적이 우수한 사람에게 상으로 주는 증서

찾을 색 思索(사색) 사물의 이치를 파고들어 깊이 생각함
쓸쓸할 삭 索莫(삭막) 황폐하여 쓸쓸함

말씀 설 說明(설명) 일정한 내용을 상대방이 잘 알수 있도록 풀어 밝힘
유세할 세 遊說(유세) 각처로 돌아다니며 자기 또는 자기 소속 정당 등의 주장을 설명 또는 선전함

살필 성 反省(반성) 자신의 잘못이나 허물을 돌이켜 생각해 깨닫는 것
덜 생 省略(생략) 덜어서 줄임. 뺌

알 식 知識(지식) 어떤 대상을 연구하거나 배워 얻은 명확한 인식
기록할 지 標識(표지) 어떤 사물을 구별하기 위해 잘 보이게 해놓은 표시

악할 악 惡黨(악당) 악한 무리
미워할 오 憎惡(증오) 몹시 미워함

바꿀 역 貿易(무역) 나라와 나라 사이에 상품을 사고 팔고 하는 일
쉬울 이 容易(용이) 아주 쉬움

목구멍 인 咽喉(인후) 목구멍
목멜 열 嗚咽(오열) 목이 메어 욺

마당 장 場所(장소) 자리, 곳
마당 량 道場(도량) 불도를 닦는 곳. 절과 그 기지의 일대

끊을 절 切斷(절단) 자르거나 베어 끊어 냄
모두 체 一切(일체) 모든 것, 온갖 것

옮길 추 推薦(추천) 어떤 조건에 적합한 대상을 책임지고 소개함
밀 퇴 推敲(퇴고) 시문의 자구를 여러 번 고침을 이르는 말

법 칙 規則(규칙)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제정한 법칙
곧 즉 然則(연즉) 그런즉, 그러면

사나울 폭 暴動(폭동) 도당을 짜서 소동을 일으켜 사회의 안녕을 어지럽게 하는 일
사나울 포 暴惡(포악) 사납고 악함

便 편할 편 便利(편리) 편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
오줌 변 便所(변소) 대소변을 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곳

다닐 행 行方(행방) 사람이 어디로 갔는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사실
항렬 항 行列(항렬) 친족 집단 안에서 세대 관계를 나타내는 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