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방/논어

제 6 편 옹 야 (雍 也)

항상 좋아요. 2013. 3. 9. 21:12

제 6 편 옹 야 (雍 也)

 

一. 子曰 雍也는 可使南面이로다 仲弓이 問子桑伯子한대 子曰 可也나 簡이니라

자왈 옹야 가사남면이로다 중궁 문자상백자한대 자왈 가야나 간이니라

仲弓이 曰 居敬而行簡하야 以臨其民이면 不亦可乎잇가

중궁이 왈 거경이행간하야 이임기민이면 불역가호잇가

居簡而行簡이면 無乃大簡乎잇가 子曰 雍之言이 然하다

거간이행간이면 무내대간호잇가 자왈 옹지언이 연하다

 

☞ 공자가 말씀하셨다. "옹은 임금을 시킬만하다."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간략하게 행동하는 점은 괜찮다." 중궁이 말했다. "공경하는 마음을 지니고, 간략한 행동으로 백성을 대하면 되지 않습니까? 마음도 간략하고 행동도 간략하면 너무 지나치지 않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옹의 말이 옳다."

 

二. 哀公이 問 弟子 孰爲好學이니잇고 孔子 對曰 有顔回者 好學하야 不遷怒하며

애공이 문 제자 숙위호학이니잇고 공자 대왈 유안회자 호학하야 불천노하며

不貳過하더니 不幸短命死矣라 今也則亡하니 未聞好學者也케이다

불이과하더니 불행단명사의라 금야칙망하니 미문호학자야케이다

☞ 애공이 물었다. "제자들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공자가 대답하기를, "안회 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으며, 똑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명이 짧아 죽었습니다.

이제는 그런 사람이 없어서,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다."

 

三. 子華 使於齊러니 冉子 爲其母請粟한대 子曰 與之釜하라

자화 사어제러니 염자 위기모청속한대 자왈 여지부하라

請益한대 曰 與之庾하라하야시늘 子 與之粟五秉한대

청익한대 왈 여지유하라하야시늘 염자 여지속오병한대

冉子曰 赤之適齊也에 乘肥馬하며 衣輕疚하니 吾는 聞之也하니

염자왈 적지적제야에 승비마하며 의경구하니 오는 문지야하니

君子는 周急이오 不繼富라하니라 原思 爲之宰러니

군자는 주급이오 불계부라하니라 원사 위지재러니

與之粟九百이시어늘 辭한대 子曰 毋하야 以與爾隣里鄕黨乎인저

여지속구백이시어늘 사한대 자왈 무하야 이여이린리향당호인저

☞ 자화가 제 나라에 사신으로 가는데 염자가 자화의 어머니에게 곡식을 주자고 청했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부만큼 주어라." 더 주어야 한다고 청하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유만큼 주어라." 하였다. 그런데 염자가 곡식 오병을 주었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공서적이 제 나라에 갈 때에 살진 말을 타고 가벼운 갖옷을 입었다.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군자는 궁핍한 사람에게 보태주고, 넉넉한 사람에게는 더 주지 않는다고 하였다.

" 원사가 관리 책임자가 되었다. 공자가 구 백이나 되는 곡식을 주자 원사가 사양하였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사양하지 말고,

받았다가 네 이웃과 향당에게 주거라."

 

四. 子 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이면 雖欲勿用이나 山川은 其舍諸아

자 위중궁왈 이우지자 성차각이면 수욕물용이나 산천은 기사제아

☞ 공자가 중궁의 인물됨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얼룩소의 새끼가 털 색깔이 붉고 또 뿔이 제대로 났다면 비록 제사에 쓰지 않으려 해도 산천의 신령이 그냥 내버려두겠는가."

 

五. 子曰 回也는 其心이 三月不違仁이오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니라

자왈 회야는 기심이 삼월불위인이오 기여칙일월지언이이의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안회는 마음속에 삼 개월 동안 인을 어기지 않고, 그 나머지 제자들은 하루나 한 달에 한 번 인에 도달한다."

六. 季康子 問 仲由는 可使從政也與잇가 子曰 由也는 果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계강자 문 중유는 가사종정야여잇가 자왈 유야는 과하니 어종정호에 하유리오

曰 賜也는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賜也는 達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왈 사야는 가사종정야여잇가 왈 사야는 달하니 어종정호에 하유리오

曰 求也는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求也는 藝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왈 구야는 가사종정야여잇가 왈 구야는 예하니 어종정호에 하유리오

☞ 계강자가 물었다. "중유(仲由:자로)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유는 과단성이 있으므로 정사를 맡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계강자가 물었다.

"사(賜:자공)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공자가 대답했다."사는 통달하였으므로 정사를 맡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계강자가 물었다. "구(求:염유)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구는 재능이 있으므로 정사를 맡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七. 季氏 使閔子騫으로 爲費宰한대 閔子騫이 曰 善爲我辭焉하라

계씨 사민자건으로 위비재한대 민자건이 왈 선위아사언하라

如有復我者인대 則吾 必在汶上矣로리라

여유부아자인대 즉오 필재문상의로리라

☞ 계씨가 민자건을 비 지역의 원님으로 삼으려고 하자, 민자건이 말했다.

"나를 위해 잘 말해다오. 다시 나를 부른다면, 내가 반드시 문수 가로 가 있을 것이다.

 

八. 伯牛有疾이어늘 子問之하실새 自牖로 執其手曰 亡之러니 命矣夫라

백우유질이어늘 자문지하실새 자유로 집기수왈 망지러니 명의부라

斯人也而有斯疾也할사 斯人也而有斯疾也할사

사인야이유사질야할사 사인야이유사질야할사

☞ 공자의 제자 염백우가 질병에 걸렸다. 공자가 문병을 할 때 창문너머로 그의 손을 잡고 말했다. "그럴 리가 없는데 운명이로다. 이 사람이 이런 질병이 있다니, 이 사람이 이런 질병이 있다니."

 

九. 子曰 賢哉라 回也여 一簞食와 一瓢飮으로 在陋巷을

자왈 현재라 회야여 일단식와 일표음으로 재누항을

人不堪其憂어늘 回也 不改其樂하니 賢哉라 回也여

인불감기우어늘 회야 불개기락하니 현재라 회야여

☞ 공자가 말씀하셨다. "어질도다. 회여! 한 그릇 밥과 한 바가지 물로 누추한 곳에 사는 것을, 남들은 그런 괴로움을 견디지 못하는데 회가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아니하니, 어질도다. 회여!"

 

十. 冉求 曰 非不說子之道언마는 力不足也로이다

염구 왈 비불열자지도언마는 역부족야로이다

子曰 力不足者는 中道而廢하나니 今女는 畫이로다

자왈 역부족자는 중도이폐하나니 금녀는 획이로다

☞ 염구가 말했다. "선생님의 도를 기뻐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힘이 부족합니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중도에 그만두지만, 지금 너는 스스로 한계선을 긋고 있는 것이다."

十一. 子 謂子夏曰 女爲君子儒오 無爲小人儒하라

자 위자하왈 여위군자유오 무위소인유하라

☞ 공자가 자하에게 말했다. "너는 군자다운 선비가 되고

소인같은 선비가 되지 말아라."

 

十二. 子游 爲武城宰러니 子曰 女 得人焉爾乎아 曰 有澹臺滅明者하니

자유 위무성재러니 자왈 여 득인언이호아 왈 유담대멸명자하니

行不由徑하며 非公事어든 未嘗至於偃之室也하나니이다

행불유경하며 비공사어든 미상지어언지실야하나니이다

☞ 자유가 무성 지방의 원님이 되었다. 그러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네가 쓸만한 사람을 찾았느냐?" 자유가 대답했다. "예! 담대멸명 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지름길로 다니지 않고 공적인 일이 아니면 저희 집에 온 적이 없습니다."

 

十三. 子曰 孟之反은 不伐이로다 奔而殿하야 將入門할새

자왈 맹지반은 불벌이로다 분이전하야 장입문할새

策其馬曰 非敢後也라 馬不進也라하니라

책기마왈 비감후야라 마불진야라하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맹지반은 공로를 자랑하지 않도다. 전쟁에 패하여 달아나면서 뒤에 쳐졌다가, 성문에 들어올 때는 말을 채찍질하면서 '일부러 뒤쳐진 것이 아니라, 말이 앞으로 나가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라고 하였다."

 

十四. 子曰 不有祝鮀之侫이며 而有宋朝之美면 難乎免於今之世矣니라

자왈 불유축타지녕이며 이유송조지미면 난호면어금지세의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축타 같이 말을 잘 하거나, 송 나라 조와 같이 미모를 지니고 있지 않으면, 지금 세상에서는 환란을 면하기 어렵다."

 

十五. 子曰 誰能出不由戶리오마는 何莫由斯道也오

자왈 수능출불유호리오마는 하막유사도야오

☞ 공자가 말씀하셨다. "누가 문을 통해 나가지 않겠냐마는

어찌하여 이 길을 다니지 않는가."

 

十六. 子曰 質勝文則野요 文勝質則史니 文質이 彬彬然後에 君子니라

자왈 질승문즉야요 문승질즉사니 문질이 빈빈연후에 군자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질(質:바탕)이 문(文:겉모양)을 이기면 촌스럽고, 문이 질을 이기면 사(史)하므로, 문과 질이 서로 잘 어울려야 군자라고 할 수 있다."

 

十七. 子曰 人之生也 直하니 罔之生也는 幸而免이니라

자왈 인지생야 직하니 망지생야는 행이면이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사람의 삶은 곧아야 하는 것이다. 곧지 않으면서 살아 있는 것은 요행히 죽음을 면했을 뿐이다."

 

十八. 子曰 知之者 不如好之者오 好之者 不如樂之者니라

자왈 지지자 불여호지자오 호지자 불여낙지자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보다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보다 못하다."

 

十九. 子曰 中人以上은 可以語上也어니와 中人以下는 不可以語上也니라

자왈 중인이상은 가이어상야어니와 중인이하는 불가이어상야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중간 이상쯤 가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것을 말해 줄 수 있으나, 중간이하의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것을 말해 줄 수 없다."

 

二十. 樊遲 問知한대 子曰 務民之義오 敬鬼神而遠之면 可謂知矣니라

번지 문지한대 자왈 무민지의오 경귀신이원지면 가위지의니라

問仁한대 曰 仁者 先難而後獲이면 可謂仁矣니라

문인한대 왈 인자 선난이후획이면 가위인의니라

 

☞ 번지가 지(知)에 대해서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백성에게 의를 힘쓰게 하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그것을 지(知)라고 할 수 있다."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인(仁)이라는 것은 어려운 일을 먼저 하고, 이익을 나중에 취한다. 이것을 인이라 할 수 있다."

 

二一. 子曰 知者는 樂水하고 仁者는 樂山이니 知者는 動하고

자왈 지자는 요수하고 인자는 요산이니 지자는 동하고

仁者는 靜하며 知者는 樂하고 仁者는 壽니라

인자는 정하며 지자는 요하고 인자는 수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이고 어진 사람은 고요하며, 지혜로운 사람은 즐거워하고 어진 사람은 오래 산다."

 

二二. 子曰 齊一變이면 至於魯하고 魯一變이면 至於道니라

자왈 제일변이면 지어로하고 노일변이면 지어도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제 나라가 한 번 변하면 노 나라 수준에 이르고, 노 나라가 한 번 변하면 왕도 정치를 할 수 있다."

 

二三. 子曰 觚不觚면 觚哉觚哉아

자왈 고불고면 고재고재아

☞ 공자가 말씀하셨다. "모난 술잔이 모가 나지 않았다면,

그것을 모난 술잔이라 하겠는가? 모난 술잔이라 하겠는가?"

二四. 宰我 問曰 仁者는 雖告之曰 井有仁焉이라도 其從之也로소이다

재아 문왈 인자는 수고지왈 정유인언이라도 기종지야로소이다

子曰 何爲其然也리오 君子는 可逝也언정 不可陷也며 可欺也언정不可罔也니라

자왈 하위기연야리오 군자는 가서야언정 불가함야며 가기야언정불가망야니라

☞ 재아가 물었다. "어진 사람에게,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 고 속이면, 그 사람이 우물 속으로 따라 들어가겠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어찌하여 우물 속에 들어가겠는가? 군자를 거기까지 가게 할 수는 있지만 빠뜨릴 수는 없으며, 이치에 맞는 말로 속일 수는 있지만 얼토당토 않은 말로 속일 수는 없다."

 

二五. 子曰 君子 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弗畔矣夫인저

자왈 군자 박학어문이요 약지이례면 역가이불반의부인저

☞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가 문헌에서 널리 배우고, 간략하게 예로 단속하면, 또한 도에 어긋나지는 않을 것이다."

 

二六. 子 見南子하신대 子路 不說이어늘

자 견남자하신대 자로 불설이어늘

夫子 矢之曰 予所否者인댄 天厭之天厭之시리라

부자 시지왈 여소부자인댄 천염지천염지시리라

☞ 공자가 남자(南子)를 만나보고 오자, 자로가 기뻐하지 않았다. 그러자 공자가 맹세하며 말했다. "내가 합당하지 않았다면

하늘이 나를 버리시리라. 하늘이 나를 버리시리라."

 

二七.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民鮮이 久矣니라

자왈 중용지위덕야 기지의호인저 민선이 구의니라

☞ 공자가 말씀하셨다. "중용의 덕이 지극하구나! 그런데 중용의 덕을 지닌 백성이 거의 없어진 지가 오래되었구나."

 

二八. 子貢이 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한대 何如하니잇고 可謂仁乎잇가

자공이 왈 여유박시어민이능제중한대 하여하니잇고 가위인호잇가

子曰 何事於仁이리오 必也聖乎인저 堯舜도 其猶病諸시니라

자왈 하사어인이리오 필야성호인저 요순도 기유병제시니라

夫仁者는 己欲立而立人하며 己欲達而達人이니라

부인자는 기욕립이립인하며 기욕달이달인이니라

能近取譬면 可謂仁之方也已니라

능근취비면 가위인지방야이니라

 

☞ 자공이 말했다. "만일 백성들에게 널리 은혜를 베풀고, 대중을 구제해 줄 수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어찌 인이라고만 하겠는가. 반드시 성인이라고 할 수 있다. 요 임금이나 순 임금도 오히려 그렇게 못한 것을 마음 아파 하였다. 인한 사람은 자기가 서려고 하는 곳에 남을 세워주며, 자기가 통달하려고 하는 곳에 남을 통달하게 한다. 가까운 곳에서 비유를 취할 수 있으면, 그것이 바로 인을 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