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계지덕(木鷄之德) : 최고의 투계(싸움닭)가 되는 조건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통제할 줄 알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빛나는 광채나 매서운눈초리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상대방으로 하여금 무언가 접근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사람, 동양에서는 이런 사람을 목계지덕(木鷄之德)을 가졌다라고 한다. '목계'란 나무로 만든 닭이란 뜻인데 나무로 만든 닭처럼 완전히 자신의 감정을 제어할 줄 아는 능력이 목계지덕이란 것이다.
이 이야기는 장자<달생(達生)>편에 나오는데 내용은 이렇다.
어느 왕이 투계를 좋아하여 기성자란 사람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구해 최고의 투계로 만들기 위한 훈련을 맡겼다.
기성자는 당시 최고의 투계 사육사였는데 맡긴 지 십일이 지나고 나서 왕이 기성자에게 물었다. "닭이 싸우기에 충분한가?"
사육사는 단호히 대답했다.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기가 최고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헛된 교만과 기운을 믿고 뽐내는 자세를 버리지 못하였다는 대답이었다.
다시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묻자 "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급함을 버리지 못했다는 말이다.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묻자 "아직 멀었습니다.
조금함을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이 뜻은 상대방을 질시하는 공격적인 눈초리를 못 버렸다는 것이다.
십일이 지나고 또 묻자 "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이제 완전히 마음의 평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가 되었습니다. 어느 닭이라도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장자의 이 고사에서 말하는 최고의 투계는 목계이다.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리고, 남의 소리와 위협에 쉽게 반응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린 나무와 같은 목계는 인간으로 말하면 완전한 자아의 성취와 평정심을 이룬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가진 특별한 광채와 능력을 상대방에게 드러내지 않기에 그 빛은 더욱 빛날 수 있다. 노자가 말하는 자신의 광채를 누그러뜨리고 이 풍진 세상의 눈높이와 함께 하라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의 겸손함이다. 상대방의 행동에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강자의 여유로 맞이하는 그 모습은 조직을 든든하게 한다. 손자병법에서 말하는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부동여산(不動如山)의 여유다.
함부로 상대방을 위협하는 눈초리를 보이지 않기에 그 마음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스로 외경을 느끼게 만든다. 노자의 부드러움과 유약함이 결국 강하고 센 것을 이길 것이라는 유약승강강(柔弱勝强剛)의 부드러움이다.
교만과 조급함, 그리고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리고 완전한 평정을 찾은 사람의 모습, 세속과 하나 되기도 하고, 움직이지 않기가 태산과 같되 부드러운 감성까지도 가지고 있는 이런 사람을 만나고 싶다. 목계지덕을 가진 이 시대의 진정한 인격자의 모습을 우리는 닮고 싶다
목계(木鷄)
이 책에서 목계(木鷄)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는데 이것은 장자의 달생편에 나오는 우화인데
옛날 중국의 주나라 선왕이 닭싸움을 좋아하여 닭을 잘 훈련시키는 기성자라는 사람을 불러
샤모 한 마리를 주면서 싸움을 잘하는 닭으로 훈련시키기를 명하였는데,
10일 지난 후에 왕이기성자를 불러 "훈련 상황이 어떠한가?" 물으니, 답하기를 ”아직은 멀었습니다.“ ”닭이 허장성세가 심한 것이 싸움할 준비가 안 되었습니다."라고 답하였습니다.
그래서 10일이 지난 후 다시 닭의 훈련상태를 물으니 답하기를 ”상대 닭을 보기만 하면 싸우려 하는 것이 훈련이 덜 되었습니다. “고 하여 다시 10일이 지나 다시 물으니, 답하기를
”아직도 상대 닭을 보면 살기를 번득이는 것이 훈련이 덜 되었습니다.고 하여 다시 10일 후
닭의 훈련 상태가 어떠한지 물으매, 답하기를 “이제는 훈련이 거이 되었습니다.”고 하며, 말하기를 ”닭이 목계(木鷄)와 같습니다.
그래서 상대 닭이 살기를 번득이며 싸움을 하려 달려들다가도 마치 목계(木鷄)와 같으므로,
덕이 충만하여 그모습만 보아도 상대방은 등을 돌리고 도망을 칩니다라고 답하였다고 하는
고사입니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사회적 환경이 급변하는 요즈음 어떤 것을 지켜야 하고 어떤 것을 버려야 하며 어떤 것을 새로이 준비하여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며, 더욱이 그런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기업으로서는 잘못된 결정들에 의해 기업이 성장하기도 하고 도산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마음의 지표로 삼을 상징물을 물려주실 고 이병철 회장과 같은 아버지를 두지 못 하였다고 한탄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건희 회장이 갖고 있는 경청(傾聽)의 휘호나 목계(木鷄)는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기 전에는 다만 종이 위에 써진 단순한 한문 단어일 뿐 이였으며,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닭 모양의 나무 조각일 뿐이었습니다.
우리 스스로가 어떤 상징물을 지정하여 이곳에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의 마음을 단련한다 면 훌륭한 자신만의 경청(傾聽)의 휘호가 되며 목계(木鷄)가 될 것입니다.
..................................................................................................................
나무닭(木鷄)
싸움닭(鬪鷄)은 어릴 적부터 싸움을 시키려고 길러진다. 전문적인 훈련은 물론 먹이를 주더라도 높은 곳에 매달아 놓고 준다. 체형을 목이 길고 다리에 힘이 붙도록 기르고, 성질을 호전적으로 만들어 닭싸움 놀이의 즐거움을 더하기 위해서다.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닭싸움하듯…”은 걸핏하면 시비를 못 걸어 안달이고 토닥거리는 것을 가리킨다.
▼최근 일본이 동아시아에서 주변국들과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 측의 나포 경고에도 아랑곳없이 독도 주변에 해양측량선을 보내 수로측량을 강행하려 들고 있다. 중국과는 동중국해 가스전과 오키노토리 문제로 티격태격이다. 러시아와 대만과도 영토 분쟁이 진행중이거나 요인을 안고 있다. 이런 일련의 사태를 일컬어 외신들은 “일본이 주변국들과 동시에 다투려 들어 `싸움닭'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고 전한다.
▼문득 장자(莊子)에 나오는 목계론(木鷄論)을 떠오르게 만든다. “닭싸움을 좋아했던 제나라 왕의 명을 받아 기성자는 싸움닭을 훈련시킨다. 열흘을 걸러 두 번씩 닭싸움을 재촉했지만 그때마다 준비가 덜 되었다고 미룬다. 닭이 작은 소리에도 상대를 노려보고 쉽게 싸우려 든다는 이유에서였다. 그 후 열흘이 지나 준비가 되었다고 왕에게 아뢴다. 그때는 다른 닭이 울어도 쉽게 반응하지 않아 마치 나무로 깎아 놓은 닭같이 덕(德)을 갖춰 섣불리 대들기는커녕 도망가더라”는 `나무닭' 이야기이다.
▼“지난해 패전 60주년을 맞았던 일본은 역사 교과서 왜곡 사건을 일으켜 주변국들의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이번에는 한국의 강한 반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독도 주변수역의 수로 측정을 밀어붙여 분쟁의 꼬투리를 만들고 있다. 세계대전 이후 `패전국'이라는 멍에를 쓰고 움츠러들었던 어깨를 다시 펴려는 몸짓으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공세적이어서 `싸움닭'을 연상시키게 한다. 헝클어지고 어수선한 정치판과 나라일들로 “과연 우리는 `나무닭'이라 할 수 있는가”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金吉昭논설주간>
'한자방 > 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鶴樓(황학루) (0) | 2009.03.04 |
---|---|
다언삭궁(多言數窮)이니 불여수중(不如守中)이라 (0) | 2009.02.09 |
扣槃捫燭(구반문촉) (0) | 2009.02.02 |
중석몰촉(中石沒鏃)과 질풍경초(疾風勁草). (0) | 2009.02.02 |
知之者는 不如 好之者요, 好之者는 不如 樂之者라 (0) | 200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