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자녀교육 공자의 자녀교육 子曰 弟子入則孝(자왈 제자입즉효)하고 出則弟(출즉제)하며 謹而信(근이신)하여 汎愛衆(범애중)하되 而親仁(이친인)하라 孔子曰 젊은 사람은 집에 들어오면 부모에게 효도하고 밖에나가서는 윗사람을 공경하며 행동을 삼가서하고 신의를 지키며 여러 사람과 널리 사귀.. 한자방/漢字 이야기 2014.02.05
이황 퇴계의 종가의수신십훈 (修身十訓) 이황 李滉 1501(연산군 7)∼1570(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퇴도(退陶)·도수.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온계리(溫溪里 :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 온혜리)에서 좌찬성 식(埴)의 7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7개월에 외간상(外艱.. 한자방/漢字 이야기 2011.04.19
교토삼굴 맹상군이 진나라에서 돌아오자 제민왕은 의연히 그를 상국으로 등용하였다. 그리하여 더욱 많은 식객들이 모여들어 그 수효가 삼천을 헤아렸다. 어느날 선비 풍환은 맹상군이 빈객을 후대한다는 말을 듣고 몸에 람루한 옷을 걸치고 짚신을 신고 찾아왔다. 맹상군이 물었다. "선생은 먼길도 마다하지 .. 한자방/漢字 이야기 2010.11.26
파부침주 破釜沈舟 독음 : 파부침주 풀이 :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싸움터로 나가면서 살아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고 결전을 각오(覺悟)함을 이르는 말 고사유래 : 초(楚)나라의 항우(項羽)가 진(秦)나라와 거록(鋸鹿)에서 싸울 때, 강을 건너는 배를 가라앉히고, 솥과 시루를 깨뜨려 죽을 각오.. 한자방/漢字 이야기 2010.04.19
침윤지참(浸潤之讒)부수지소(膚受之愬) 침윤지참(浸潤之讒) [요약] (浸: 담글 침. 潤: 젖을 윤. 之: 갈 지. 讒: 참소할 참) 차차 젖어서 퍼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讒訴)한다는 뜻. [동어] 침윤지언(浸潤之言) [출전]《논어 제12 안연(顔淵)》 [내용] 자장(子張)이 어떻게 하는 것이 명백한 것이냐고 물었다. 공자는 이렇게 대답.. 한자방/漢字 이야기 2010.03.16
[한자 이야기]<762>見利思義하며 見危授命하며 久要에 … 청년기를 거쳐 심신이 모두 발육한 사람을 成人이라고 한다. 나이 스물에 남자는 관례를 올리고 여자는 계례를 올렸던 예법에서 나온 말이다. 그런데 또 다른 의미의 成人이 있다. 천도를 알고 인의를 실천하며 예악으로 자신을 꾸밀 줄 아는 완성된 인간을 가리킨다. 全人이나 完人이라고도 한다. ‘.. 한자방/漢字 이야기 200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