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법

◑ 대명사(代名詞)

항상 좋아요. 2009. 7. 21. 06:46

◑ 대명사(代名詞)

        1.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代名詞)로 말하는 사람이 가리키는
        관점에 따라서 인칭, 수, 거리 관계를 나타낸다.

        ① 1 인칭(人稱)

        ☞ 我(아), 吾(오), 余(여), 予(여), 已(이), 僕(복),
            臣(신), 妾(첩), 小人(소인), 寡人(과인)...

        ▷ 予爲此憫然 여위차민연
         - 내가 이를 불쌍히 여기다.

        ▷ 我鞠躬不敢息 아국궁불감식
         - 나는 허리를 굽혀 감히 숨소리도 내지 못했다.

        ▷ 吾村十里皆平原 오촌십리개평원
         - 우리 마을은 십리가 모두 평원이다.

        ② 2 인칭(人稱)

        ☞ 女(여), 汝(여), 爾(이), 君(군), 子(자)...

        ▷ 子將安之 자장안지
         - 그대는 장차 어디로 가려는가 ?

        ▷ 誨女知之乎 회여지지호
         - 너에게 안다는 것에 대하여 말해 줄까 ?

        ▷ 女與回也孰愈 여여회야숙유
         -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나으냐 ?

        ③ 3 인칭(人稱)

        ☞ 他(타), 彼(피), 其(기), 夫(부), 某(모), 此(차)...

        ▷ 是吾師也 시오사야
         - 이 분은 나의 선생님이다.

        ▷ 我皆有禮, 夫猶鄙我 아개유례, 부유비아
         - 우리가 (하는 것은) 모두 예의가 있는데,
           그들은 오히려 우리를 무시한다

        ▷ 彼, 丈夫也 피, 장부야
         - 그는 남자이다.

        ④ 미지칭 (未知稱)

        ☞ 수(誰), 숙(孰), 혹(或) 등

        ▷ 子去我而歸, 吾孰與處於此 자거아이귀, 오숙여처어차
         - 그대가 나를 떠나 돌아가면,
         나는 누구와 더불어 여기에 머물겠는가

        ▷ 誰曰不然 수왈불연
         - 누가 그렇다고 하지 않으리오.

        2.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말하는 사람이 자기의 처지에서 사물을 가리켜 일컫는 대명사이다.
        말하는 사람과의 거리 관계에 있어서 '여기, 저기, 어디' 등을
        나타내는 것을 지시대명사라 한다.

        ① 가까운 거리를 가리키는 근칭(近稱)
            '이곳, 여기, 이것' 등으로 풀이된다.

        ☞ 是(시), 斯(사), 此(차), 玆(자)...

        ▷ 是寡人之過也 시과인지과야
         - 이것은 과인의 허물이다.

        ▷ 此勝則彼劣 차승칙피열
         - 이것이 나으면 저것이 못하다.

        ② 먼 거리를 가리키는 원칭(遠稱)
            '저곳, 저기, 저것' 등으로 풀이된다.

        ☞ 他(타), 彼(피), 其(기), 厥(궐)...

        ▷ 彼人是哉 子曰何其 피인시재 자왈하기
         - 그 사람이 옳습니까? 당신들은 왜 그렇게 말합니까 ?

        ▷ 率是農夫, 播厥百穀 솔시농부, 파궐백곡
         - 이 농부들을 거느리고 그 모든 모든 곡물을 파종하네.

        ▷ 從他道還 종타도환
         - 다른 길로 돌아왔다.

        ③ 알 수 없는 것을 가리키는 미지칭(未知稱)
            '무엇, 어디' 등으로 풀이된다.
            지정하지 않는 사물을 가리키는 부정칭(不定稱)
            '아무것, 아무데' 등으로 풀이된다.

        ☞ 或(혹), 各(각), 皆(개)...

        ▷ 宋人或得玉 송인혹득옥
         - 송나라 사람 어떤이가 옥을 얻다.

        ▷ 以此攻城, 何城不克 이차공성, 하성불극
         - 이 군대로 성을 공격하면 어느 성인들
           공략하지 못하리오.

        3.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

        의문(疑問)의 뜻으로 대상을 나타내는 대명사(代名詞)이다.
        즉, '누구, 어디, 무엇' 등을 표현 할 때 쓰인다.

        ☞ 何(하), 誰(수), 安(안), 孰(숙), 豈(기), 惡(오),
            幾何(기하), 幾許(기허)...

        ▷ 大王來何操 대왕래하조
         - 대왕께서는 무엇을 가지고 왔습니까?

        ▷ 天下之父歸之, 其子焉往 천하지부귀지, 기자언왕
         - 천하의 아버지들이 모두 그에게로 돌아가면,
           그들의 아이들은 어느 곳으로 돌아갑니까 ?

        ▷ 子爲誰 자위수
         - 그대는 누구인가 ?

        ▷ 孰能無惑 숙능무혹
         - 누가 의혹이 없을 수 있는가 ?

        ▷ 豈不易哉 기불역재
         - 어찌 바꾸지 않으리.

        ▷ 子將安之 자장안지
         - 그대는 장차 어디로 가려하는가 ?

'한자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사(動詞)  (0) 2009.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