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글로벌 위기로 인해 침체 된 요즈음 어려울 수록 기본으로 돌아 가고픈 인간의 심리가 용해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가 많은 도움을 준단다.
첨단을 달리던 월가의 금융 지도자들이 기본에 충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글로벌적인 고통이 지구상을 엄습하고 있다.
이 때에 우린 수천년동안에 걸쳐 입증된 고전에서 삶의 지혜를 찾고 있다.
춘추전국시대` 동양의 르네상스.........시대가 사람을 만들고 난세가 영웅을 키운다.
많은 諸子 百家 중에서 孔子. 老子. 順子에 대해 說破한다.

이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공자의 자(子)는 경칭으로 '선생'이라는 뜻이 된다.
공자 ~ 바닥을 치고 일어 나라.
야합이생(부적절한 관계) 아버지70세에 미혼모17세 어머니에 출생하여 3살에 아버지 돌아가시고 24세에 어머니 돌아가셨고 장애우 형이 있었다.
환경이 무척 어려웠기 때문에 바닥에서 많은 것을 경험하고 슬기를 얻었다.
논어에서 나오는 군자 3락.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평생학습
"배워 때에 맞추어(timely)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좋은 친구,꿈이 같은 친구
뜻을 같이 하는 자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人不知而不㉡원망하다(怨望--)
㉢괴로워하다
')" onmouseout=tooltipOff() ;>慍 면 不亦君子乎아."[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고 자신이 당당하게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부끄럽지 않으니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
生而不知之-날 때부터 알지 못하고
學而不知之-배우지 않고 알지 못하고
因而不知之-고통없이 알지 못하고
벗을 사뀔 때는
1.長-나이를 따지지 말고
2.貴- 지위를 생각하지 말고
3.兄弟-집안을 따지지 말고
노자 ~ 발상 전환을 하라 ~ 역발상
반자도지동(反者道之動)의 세계관이다.
도의 운동은 극단에 이르면 반대가 된다는 겁이다.
잘 알고 계실 것 같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세계관이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과 같이 물은 자연에 순응하는 것의 좋은 모델이 되다.
물처럼 자세을 낮게하고 멀리 보고 가라.
노자의 발상 전환
반자도지동(反者道之動)-거꾸로 가는 것이 도의 운동이다.
무위자연(無爲自然)-강요하지 않는 것이 스스로 되게 하는 것이다.
상선약수(上善若水)-물처럼 살라
공성신퇴(功成身退)- 일를 이루었으면 뒤로 물러나라. 그러면 결국 공이 나에게 돌아온다.
위도일손(爲道日損)-손해나는 장사를 하라.
부지불온(不知不慍)-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고 당당하게
그 외 등등
보통 손무(孫武) 또는 손무의 후예 손빈(孫臏)에 대한 경칭이다. 손무는 춘추시대 제(齊)나라 사람으로, 자는 장경(長卿)이다. 일찍이 〈병법〉 13편을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보이고 그의 장군이 되었으며, 대군을 이끌고 초(楚)나라를 무찔렀다. 군대를 중시했으며 "적과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百戰不殆)고 주장했다. 즉 적과 나의 상황을 파악하고 군사의 많고 적음, 강약(强弱)·허실(虛實)·공수(攻守)·진퇴(進退) 등의 형세를 잘 분석하여 적을 제압하면 승리를 얻는다는 것이다. 또한 전략전술을 활발하게 운용할 것을 주장했다. 그의 저서 〈손자병법〉은 중국 최초의 병서이다. 1972년 산둥 성[山東省] 린이 현[臨沂縣] 인췌 산[銀雀山]에 있던 한묘(漢墓)에서 죽간 〈손자병법〉 13편이 출토되었는데, 기본적으로 당시 통행되던 송본과 같다.손자 ~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
그는 상생의 승을 이야기 했다.
남을 죽이고 승리하는 것이 아니다.
1.전략적으로 살아라.
-시간:出基不意-생각하지 않은 때를 노린다. 예상외
-공간: 攻基無備-틈새를 노린다.
-속도: 兵者貴速-타이밍이 중요하다. 싸움은 속도전이다.
2.기본철학을 가져라. 보민,보국
3.氣勢를 만들어라. 환경.氣-에너지 勢-환경
손자의 3가지 전략법
마무가내로 전략없이 철학이 없이 살아서는 안된다.
'한자방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 편 위 정( 爲 政 ) (0) | 2013.03.09 |
---|---|
제1학이편 (0) | 2013.03.09 |
三知 (0) | 2009.09.16 |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베고 (0) | 2009.06.01 |
[스크랩] 제6강 논어(論語) (0) | 2009.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