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방/시사고전

[스크랩] 지자불언(知者不言) 언자부지(言者不知)

항상 좋아요. 2009. 7. 6. 17:22
 

知者 不言   言者 不知

 

참으로 아는 사람은 함부로 말하지 않으며 말하면 꼭 必要하고 쓸모 있는 말만 한다. 그리고 말 한다고 해서 다 아는 것도 아니다. 말이 많고 達辯이라고 해서 반드시 슬기로운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이런 사람은 겉만 華麗하고 실속이 없는 경우가 많다. 華麗한 겉치장에 眩惑되지 말고 內實을 살펴야 마땅할 일이다.

老子의 道德經 (제 56장)

 

知者不言 아는 자는 말 하지 아니하고   言者不知 말 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塞其兌    입을 닫고                           閉其門    문을 닫으면

挫其銳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고        解其粉    엉킴을 풀게 하며

和其光    빛을 온화하게 하고              同其塵    티끌도 함께 하니

是謂玄同 이를 현동 이라 한다

( 玄同 : 天地 萬物과 뒤섞여 하나가 됨. 곧 彼我의 차별이 없음)

 

孔子의 많은 弟子중 首弟子로는 단연 顔回와 子貢을 들 수 있다.顔回는 말수 가 적고 寡默하여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였다고 한다. 그래서 孔子도 顔回를  評 하기를 "내가 回와 더불어 이야기 하는데 終日토록 내 말을 어기지 않아 어리석은 듯 하더니 물러나서 그 私生活을 살펴보니 充分히 그 內容을 나타내고 있으니 回는 어리석지 않는구나"

" 吾與回言終日하되 不違如憂러니 退而省其私한대 亦足以發하나니 回也不憂로다"  <論語 爲政篇>

 

子貢은 言辯이 좋고 理財에 밝아 孔子의 經濟. 外交. 秘書 役割을 하였으나 남 앞에서 뽐내기를 매우 좋아 했다. 그래서 孔子는 그 단점을 고치기 위해  가장 재주 있고 믿음직스러운 弟子 顔回와 비교 하면 謙遜 해질것 이라 생각 하고 子貢에게 "너와 顔回중 누가 더 낳은가 ?" 하고 물었다. 이에 子貢은 "제가 어찌 감히 顔回를 바라다 보겠습니까 ? 顔回는 하나를 들으면 열(十)을 알지만, 저는 하나를 들으면 고작 둘(二)을 알뿐입니다"

"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貢也는 聞一以知二 하노이다"  <論語 公冶長篇>

출처 : ♠ 錦石 의 Home♠
글쓴이 : 금석 원글보기
메모 :

'한자방 > 시사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拔苗助長(발묘조장)  (0) 2009.07.08
일반삼토(一飯三吐) , 일목삼착(一沐三捉)...  (0) 2009.07.07
言不中理 不如不言  (0) 2009.07.06
전쟁을 할 때는 속이는 방법으로   (0) 2009.07.01
장자 대붕  (0) 200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