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9 편 자 장 (子 張)
♣ 이 편에는 공자의 제자들인 자하, 자공, 증자 등의 말을 간추려 놓았음
01.子張曰 士見危致命하며 見得思義 祭思敬하며 喪思哀면 其可已矣니라
자장왈 사견위치명하며 견득사의 제사경하며 상사애면 기가이의니라
☞ 자장이 말하기를, “선비가 나라의 위태한 것을 보면 목숨을 버리고 이익을 보면 의리를 생각하며 제사에는 공경을 생각하고 초상에는 슬픔을 생각하면 올바르다.”고 했다.
02.子張曰 執德不弘하며 信道不篤이면 焉能爲有며 焉能爲亡리오
자장왈 집덕불홍하며 신도불독이면 언능위유며 언능위망리오
☞ 자장이 말하기를, “덕을 가지기를 크게 하지 못하며 도를 믿기를 도탑게 하지 못하면 이런 사람을 어찌 능히 도와 덕이 있다 어찌 없다고 하겠는가.”고 하였다
03.子夏之門人이 問交於子張한대 子張曰子夏云何오 對曰子夏曰可者를 與之하고 其不可者를 拒之하더이다 子張曰異乎吾所聞이로다 君子는 尊賢而容衆하며 嘉善而矜不能이니 我之大賢與인댄 於人에 何所不容이며 我之不賢與인댄 人將拒我니 如之何其拒人也리오
자하지문인이 문교어자장한대 자장왈자하운하오 대왈자하왈가자를 여지하고 기불가자를 거지하더이다 자장왈이호오소문이로다 군자는 존형이용중하며 가선이긍불능이니 아지대현여인댄 어인에 하소불용이며 아지불현여인댄 인장거아니 여지하기거인야리오
☞ 자하의 문인이 친구 사귀는 것을 자장에게 물으니 자장이 말하기를, “자하가 무어라고 하던가.”고 하니 대답하기를, “자하가 말하기를, ‘착한 자를 사귀고 그 착하지 아니한 자를 거절하라’하더니다.”고 하니 자장이 말하기를, “내가 들은 바와 다르다 군자는 어진 이를 존경하고 무리를 용납하며 착한 것을 아름답게 여기고 능치 못한 것을 불쌍히 여길 것이니 내가 크게 어질다면 사람에게 어찌 용납되지 못할 것이며 내가 어질지 못하다면 사람이 장차 나를 거절할 것이니 어찌 그 사람을 거절하겠느냐.”고 하셨다.
04.子夏 曰 雖小道나 必有可觀者焉이어니와 致遠恐泥라 是以로 君子不爲也니라
자하 왈 수소도나 필유가관자언이어니와 치원공니라 시이로 군자불위야니라
☞ 자하가 말하기를, “비록 작은 도라도 반드시 볼 만한 것이 있을 것인데 먼 데 이르는데 막힐까 두려운지라 이러므로 군자는 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05.子夏 曰 日知其所亡하며 月無忘其所能이면 可謂好學也已矣니라
자하 왈 일지기소망하며 월무망기소능이면 가위호학야이의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날마다 자기의 모르는 바를 알며 달로 그 능한 바를 잊지 아니하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할 것이다.”고 하였다.
06.子夏 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자하 왈 박학이독지하며 절문이근사하면 인재기중의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배우는 것을 널리 하고 뜻을 도탑게 하며 절실히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하면 어진 것이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고 하였다.
07.子夏 曰 百工居肆하여 以成其事하고 君子學하여 以致其道니라
자하 왈 백공거사하여 이성기사하고 군자학하여 이치기도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모든 기술자는 공장에서 그 일을 이루고 군자는 배워서 그 도를 이룬다.”고 하였다.
08.子夏 曰 小人之過也는 必文이니라
자하 왈 소인지과야는 필문이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소인은 허물을 범하면 반드시 좋도록 꾸민다.” 고 하였다.
09.子夏 曰 君子有三變하니 望之儼然하고 卽之也溫하고 聽其言也려하니라
자하 왈 군자유삼변하니 망지엄연하고 즉지야온하고 청기언야려하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군자의 모습에 세 가지 변하는 것이 있는데, 멀리서 바라보면 엄연하고 가까이 나아가면 온화하고 그 말을 들으면 확실한 것이다.”고 하였다
10.子夏 曰 君子는 信而後勞其民이니 未信則以爲려己也니라 信而後諫이니 未信則以爲謗己也니라
자하 왈 군자는 신이후로기민이니 미신즉이위려기야니라 신이후간이니 미신즉이위방기야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군자는 미덥게 한 뒤에 그 백성을 부려야 할 것이니 믿음이 없이 일을 시키면 자기를 해친다고 할 것이니 믿음 없이 충고하면 믿지 못하고 자기를 비난한다고 할 것이다.”고 하였다
11.子夏 曰 大德이 不踰閑이면 小德은 出入이라도 可也니라
자하 왈 대덕이 불유한이면 소덕은 출입이라도 가야니라
☞ 자하가 이르기를, “큰 덕이 법도를 넘지 아니하면 작은 덕은 나고 들더라도 좋을 것이다.”고 하셨다.
12.子游 曰 子夏之門人小子當灑掃應對進退則可矣나 抑末也나 本之則無하니 如之何오 子夏聞之하고 曰噫라 言游過矣로다 君子之道孰先傳焉이며 孰後倦焉이리오 譬諸草木컨대 區以別矣니 君子之道焉可誣也리오 有始有卒者는 其惟聖人乎인저
자유 왈 자하지문인소자당쇄소응대진퇴칙가의나 억말야나 본지즉무하니 여지하오 자하문지하고 왈희라 언유과의로다 군자지도숙선전언이며 숙후권언이리오 비제초목컨대 구이별의니 군자지도언가무야리오 유시유졸자는 기유성인호인저
☞ 자유가 말하기를, “자하의 문인과 소자가 물 뿌리고 쓸며 응하고 대답하며 나가고 물러갈 때를 당하여서는 가하나 말단의 일인지라 근본이 없으니 어찌하겠는가.”고 하였다. 자하가 듣고 말하기를, “아아! 유를 말함이 지나치다 군자의 도가 어느 것을 먼저라 하여 전하고 어느 것을 뒤라 하여 게을리 하겠는가 초목에 비유한다면 구별하여 분별이 있다 군자의 도도 어찌 속이겠느냐 처음이 있고 끝이 있음이 한결같은 자는 아마도 오직 성인일 것이다.”고 하였다.
13.子夏 曰 仕而優則學하고 學而優則仕니라
자하 왈 사이우칙학하고 학이우즉사니라
☞ 자하가 말하기를, “벼슬하고 남은 힘이 있으면 배우고 배우고 남은 힘이 있으면 벼슬을 할 것이다.”고 하였다.
14.子游 曰 喪은 致乎哀而止니라
자유 왈 상은 치호애이지니라
☞ 자유가 말하기를, “상사는 슬픔을 극진히 할 따름이다.”고 하였다.
15.子游 曰 吾友張也爲難能也나 然而未仁이니라
자유 왈 오우장야위난능야나 연이미인이니라
☞ 자유가 말하기를, “나의 벗 자장이 어려운 것을 하는 데는 능하다. 그러하나 어질지는 못하다.”고 하였다.
16.曾子 曰 堂堂乎張也 難與병爲仁矣
증자 왈 당당호장야 난여병위인의
☞ 증자가 말하기를 "당당하도다 자장이여! 그대의 仁과 겨룰 수가 없도다."
17.曾子 曰 吾聞諸夫子하니 人未有自致者也나 必也親喪乎인저
증자 왈 오문제부자하니 인미유자치자야나 필야친상호인저
☞ 증자가 말하기를, “내가 선생님에게 들으니 사람이 보통 일에는 자기의 심정을 극진히 하지 못하지마는 부모의 상에는 반드시 애통함을 다할 것이다.”고 하였다.
18.曾子 曰 吾聞諸夫子하니 孟莊子之孝也는 其他可能也어니와 其不改父之臣與父之政은 是難能也니라
증자 왈 오문제부자하니 맹장자지효야는 기타가능야어니와 기불개부지신여부지정은 시난능야니라
☞ 증자가 말하기를, “내가 부자께서 들으니 ‘맹장자의 효도는 다른 사람도 다할 수 있겠지마는 그 어버이의 가신과 어버이의 하던 정사를 고치지아니한 것, 이것은 능하기 어려운 일이다.”고 하였다.
19.孟氏使陽膚爲士師라 問於曾子한대 曾子曰上失其道하여 民散이 久矣니 如得其情이면 則哀矜而勿喜니라
맹씨사양부위사사라 문어증자한대 증자왈상실기도하여 민산이 구의니 여득기정이면 즉애긍이물희니라
☞ 맹씨가 양부로 법관인 사사를 삼은 지라 양부가 스승인 증자께 물었다 증자께서 말하기를, “위에서 그 도를 잃어서 백성이 흩어진 지 오래니 만일 그 정상을 알았을 것 같으면 불쌍히 여기고 적발한 것을 기뻐하지 말라.”고 하였다.
20.子貢 曰 紂之不善이 不如是之甚也니 是以로 君子惡居下流하나니 天下之惡이 皆歸焉이니라
자공 왈 주지불선이 불여시지심야니 시이로 군자악거하류하나니 천하지악이 개귀언이니라
☞ 자공이 말하기를, “주왕의 착하지 않은 것이 이와 같이 심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하루에 처하기를 싫어하는 것이니 이것은 천하의 악이 다 그에게로 돌아가기 때문이다.”고 하셨다.
21.子貢 曰 君子之過也는 如日月之食焉이라 過也에 人皆見之하고 更也에 人皆仰之니라
자공 왈 군자지과야는 여일월지식언이라 과야에 인개견지하고 갱야에 인개앙지니라
☞ 자공이 말하기를, “군자의 허물은 일식 월식과 같아서 허물이 있으면 사람이 다 보게 되고 고치면 사람이 다 우러러보게 된다.”고 하였다.
22.衛公孫朝問於子貢曰仲尼焉學고 子貢曰文武之道未墜於地하며 在人이라 賢者는 識其大者하고 不賢者는 識其小者하여 莫不有文武之道焉하나 夫子焉不學이시며 而亦何常師之有시리오
위공손조문어자공왈중니언학고 자공왈문무지도미추어지하며 재인이라 현자는 식기대자하고 불현자는 지기소자하여 막불유문무지도언하니 부자언불학이시며 이역하상사지유시리오
☞ 위나라 공손조가 자공에게 묻기를, “중니는 어디서 배웠는가.”고 하니 자공이 대답하기를,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아 사람에게 남아 있으니 어진 이는 그 큰 것을 기록하고 어질지 못한 이는 그 작은 것을 기록함에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닌 것이 없으니 선생님께서는 어디선들 배우지 아니하겠으며 또한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겠는가.”고 하였다
23.叔孫武叔이 語大夫於朝曰子貢賢於仲尼하니라 子服景伯이 以告子貢한대 子貢曰譬之宮牆컨대 賜之牆也는 及肩이라 窺見室家之好어니와 夫子之牆은 數인이라 不得其門而入이면 不見宗廟之美와 百官之富니 得其門者或寡矣니 夫子之云이 不亦宜乎아
숙손무숙이 어대부어조왈자공현어중니하니라 자복경백이 이고자공한대 자공왈비지궁장컨대 사지장야는 급견이라 규견실가지호어니와 부자지장은 수인이라 불득기문이입이면 불견종묘지미와 백관지부니 득기문자혹과의니 부자지운이 불역의호아
☞ 손숙무숙이 조정에서 대부에게 말하기를, “자공이 중니보다 어질다고 본다.”고 하였다. 잡족경백이 자공에게 고했더니 자공이 말하기를, “궁실 담에 비유한다면 나의 담은 어께에 미쳐서 집안의 좋은 것을 엿볼 수 있으려니와 부자의 담은 몇 길이나 높아서 그 분을 들어가지 않으면 종묘의 아름다움과 백관의 호화한 것을 볼 수 없는 것이다.”고 하였다. 그 문에 들어간 사람은 적으니 무숙의 한 말이 또한 마땅치 않겠는가.”고 하였다.
24.叔孫武叔이 毁仲尼어늘 子貢曰無以爲也하라 仲尼는 不可毁也니 他人之賢者는 丘陵也라 猶可踰也 어니와 仲尼는 日月也라 無得而踰焉이니 人雖欲自絶이나 其何傷於日月乎리오 多見其不知量也로다
숙손무숙이 훼중니어늘 자공왈무이위야하라 중니는 불가훼야니 타인지현자는 구릉야라 유가유야어니와 중니는 일월야라 무득이유언이니 인수욕자절이나 기하상어일월호리오 다견기불지량야로다
☞ 숙손무숙이 중니를 헐뜯어 말하니 자공이 말하기를, “방법이 없다 중니는 가이 헐뜯을 수 없다 다른 사람의 어진 것은 언덕과 같아서 넘을 수 있지마는 중니는 해와 달이라 아무도 넘을 수 없다 사람이 비록 일월을 끊으려 한들 어떻게 일월을 손상 하겠는가 마치 자기의 헤아림을 깨닫지 못하는 것을 자주 드러낼 뿐이다.”
25.陳子禽謂子貢曰子爲恭也언정 仲尼豈賢於子乎리오 子貢曰君子一言에 以爲知하며 一言에 以爲不知니 言不可不愼也니라 夫子之不可及也는 猶天之不可階而升也니라 夫子之得邦家者인댄 所謂立之斯立하고 道之斯行하며 綏之斯來하며 動之斯和하여 其生也榮니 其死也哀니 如之何其可及也리오
진자금위자공왈자위공야언정 중니기현어자호리오 자공왈군자일언에 이위지하며 일언에 이위불지니 언불가불신야니라 부자지불가급야는 유천지불가계이승야니라 부자지득방가자인댄 소위립지사립하고 도지사행하며 수지사래하며 동지사화하여 기생야영니 기사야애니여지하기가급야리오
☞ 진자금이 자공에게 말하기를, “그대가 겸손한 것이지 중니가 어찌 그대보다 어질겠는가.”고 하였다. 자공이 말하기를, “군자는 한 마디 말로 지혜롭게 되기도 하고 한 마디 말로 지혜롭지 못하게 되기도 하므로 말은 삼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선생님께서 미치지 못하는 것은 하늘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하셨다. 선생님께서 나라를 얻어서 다스리신다면 소위 ‘백성의 살 방도를 세우면 세워지고 인도 하면 따르고 편안하게 하면 오고 고취시키면 화하고 살아 계실 때는 사람마다 영광스럽고 돌아가신 때에는 모두 슬퍼할 것이다’ 그 어찌 미칠 수 있겠느냐.”고 하였다.
'한자방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자의 10명의 제자(공문십철) > (0) | 2013.03.09 |
---|---|
제20 편 요 왈 (堯 曰) (0) | 2013.03.09 |
제 18 편 미 자 (微 子) (0) | 2013.03.09 |
제 17 편 양 화 ( 陽 貨 ) (0) | 2013.03.09 |
제 16 편 계 씨 ( 季 氏 ) (0) | 2013.03.09 |